Marc Peter Deisenroth외 2인이 저술한 책인 Mathematics for Machine Learning과 Gilbert Strang이 저술한 책인 Introduction to Linear Algebra, 그리고 카이스트 주재걸 교수님의 인공지능을 위한 선형대수 강의를 참고하였다.
1. Linear Independence
벡터 $x_1, x_2, \cdots, x_n$이 있을 때, “모든 계수가 0인 경우를 제외하고” 어떠한 선형결합으로도 0을 만들 수 없는 경우
$\lambda x_1 + \cdots + \lambda x_n = 0$의 solution이 $\lambda_1 = \cdots = \lambda_k = 0$ 밖에 없을 때
행렬 $A$의 nullspace가 오직 zero vector만 존재할 때
어떤 벡터가 다른 벡터들의 선형결합으로 표현되지 않을 때(Span에 없을 때) Linear Independece하다고 한다.
cf) 종속(Dependence) : 선형결합을 취할 때, $\lambda_1 = \cdots = \lambda_k = 0$인 경우를 제외하고도 결과값이 0인 경우
- 벡터는 Lineary Dependent 하거나 Independent 하다(둘중 하나!)
- 벡터 $x_1, \cdots, x_n$ 중 하나라도 0이면 dependent(0인 벡터에 아무거나 곱해도 0이 되므로)
- 벡터들이 수직이면 dependent
- 하나의 벡터가 다른 벡터의 선형결합이면 dependent
- Gaussian Elimination을 했을 때
- basic variable만 존재 : independent
- free variable만 존재 : dependent
Dependent | Independent |
---|---|
어떤 column을 다른 column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어떤 column을 다른 Column으로 나타낼 수 없다 |
Nullspace가 zero vector말고 다른 것도 존재한다 | Nullspace가 zero vector밖에 없다 |
Free column이 있다 | Free column이 없다 |
Special Solution이 있다 | Special Solution이 없다 |
방정식의 개수 > 벡터의 개수 | Full column rank이다 |
dependenct한 vector들은 당연히 span을 팽창하지 않는다. 또, dependent하면 당연히 해가 무수히 많다.
2. Subspace
vector space의 부분집합. 임의의 $n$차원 공간에 대해 $n$차원 공간에 포함되면서 $n$차원 벡터들에 대해 선형결합이 성립하는(선형결합에 닫혀있는) 작은 공간.
Subspace | 설명 |
---|---|
Column space | Column들의 linear combination으로 형성된 subspace. $Ax = b$에서 $b$가 $A$의 columns space에 존재해야 해를 구할 수 있다. 즉, 벡터 $b$가 $A$의 column의 linear combination으로 표현이 가능해야 해를 구할 수 있다. |
row space | row들의 linear combination으로 형성된 subspace |
null space | $Ax = 0$이 되는 벡터 $x$의 집합($x$들의 linear combination으로 형성되는 공간) special solution들의 linear combination이며 zero vector를 반드시 포함한다. A를 Elimination해서 $Ax = 0$을 만족시키는 $x$를 구함으로써 null space를 구할 수 있다. 만약 free variable의 개수가 0개라면 모두 선형 독립이므로 이때 null space는 zero vector가 된다. |
추가로, 아래의 Basis에 대한 설명을 보고 와서 다음 표를 보도록 하자.
[표 : Four Subspaces의 basis와 차원 (A = m x n matrix)]
종류 | 이름 | 식 | Basis | 차원 |
---|---|---|---|---|
$C(A) \in R^m$ | Column space | $ y = Ax$ | $A$의 pivot columns 개수 | $r$ |
$N(A) \in R^n$ | Null space | $Ax = 0$ | $A$의 free columns 개수 | $n-r$ |
$C(A^T) \in R^n$ | Row space | $y = A^Tx$ | $A^T$의 pivot columns 개수 | $r$ |
$N(A^T) \in R^m$ | Left null space | $y^TA = 0^T$ | $A^Tx = 0$의 free columns 개수 | $m-r$ |
3. Basis(기저)
Subspace를 span하는 선형독립인 벡터를 말한다. 더 쉽게 말하면, 서로 선형 독립이면서 vector space를 span하는 minimal한 벡터들의 집합이다.
- 모든 벡터들은 basis vector들의 유일한 선형결합이다.(모든 선형결합은 unique)하다.
- 모든 vector space는 기저를 갖는다.
- 모든 기저는 같은 수의 element를 갖는다
- vector space의 차원 = 해당 vector space의 basis vector의 수
- invertible한 모든 n x n matrix의 column들은 $R^n$에 대한 basis이다.
- Basis는 unique하지 않다.
Basis는 Gaussian Elimination으로 확인 가능하다. pivot columns가 independent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pivot columns가 independent하므로 $x_1, x_2, x_4$는 linearly independent하다. 따라서 이들은 Basis이다.
4. Rank
선형독립인 column들의 개수 = column space의 차원 = column space의 기저벡터 개수 = pivot column의 개수
- If rank($A$) = rank($A^T$) : column rank = row rank
- $A$의 column들이 subspace $U$를 span하면 rank($A$) = dim($U$)
- n x n matrix $A$가 역행렬을 가지면 rank($A$) = $n$
- m x n matrix $A$에 대해 $Ax = 0$의 solution들의 subspace의 차원은 $n$ - rank($A$)이다.
- If rank($A$) = $A$의 차원이라면 이는 full rank임을 의미한다.
-
$Ax = b$가 해를 가지기 위해서는 rank($A$) = rank($A b$)
Full column rank | Full row rank |
---|---|
m x n matrix에서 $r = n$일 때 | m x n matrix에서 $r = m$일 때 |
free column이 없음 | free column은 $n - m$개 |
column들이 서로 independent | column들이 서로 dependent |
null space는 오직 zero vector 뿐 | nullspace 존재 |
unique한 해를 가지며 rank($A$) = $A$의 차원 | 해의 개수가 1개 또는 무수히 많다 |